📌 n8n이란 무엇일까요? 😋
오늘은 오픈 소스 워크플로 자동화 도구인 n8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많은 개발자와 운영팀이 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해, 또는 외부 API·클라우드 서비스·내부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쉽게 연동하기 위해 n8n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요.
이 글에서는 n8n을 사용하는 이유(장점)와 사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.
1. n8n이란? 🤔
n8n은 “노코드/로우코드(Low Code)” 형태의 워크플로 자동화 툴입니다.
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웹 인터페이스에서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‘노드(Node)’를 배치하고 연결해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죠.
- 🔹 오픈 소스: GitHub에서 코드를 확인하고, 필요한 경우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도 있습니다.
- 🔹 유연성: REST API, 데이터베이스, 파일 서비스 등 여러 서비스와 연동 가능해 워크플로를 종합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
- 🔹 저렴한 비용: 엔터프라이즈급 자동화 툴 대비 비용이 저렴하거나, 자가 호스팅 시 인프라 비용만으로 운영이 가능합니다.
실생활 예시
- 예시 1: 특정 고객 DB에서 신규 가입 정보가 발생할 때마다 Slack 채널이나 이메일로 알림을 보내고, 동시에 Google 스프레드시트를 업데이트.
- 예시 2: 특정 FTP 서버에 새 파일이 올라오면, 이를 다운로드하고 AWS S3에 업로드한 뒤, 파일 링크를 Slack 메시지로 전송.
즉, 반복 업무를 자동화하고 서로 다른 시스템을 연동해주는 도구가 바로 n8n입니다.
2. 어떻게 동작하나요? 🎬
1) 기본 개념
n8n의 핵심 개념은 노드(Node)와 워크플로(Workflow)입니다.
- 노드: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(예: HTTP 요청, 데이터 변환, 데이터베이스 쿼리 등)
- 워크플로: 여러 노드를 연결해 원하는 자동화를 구성한 흐름
아래는 간단한 워크플로 구성을 예시로 보여주는 코드/형태를 가정해보겠습니다.
# n8n 워크플로 예시(간단 예제)
nodes:
- name: Trigger
type: webhook
parameters:
path: /newdata
method: POST
- name: HTTP_Request
type: httpRequest
parameters:
url: 'https://example.com/api/data'
method: GET
- name: Email_Send
type: emailSend
parameters:
fromEmail: 'me@example.com'
toEmail: 'manager@example.com'
subject: 'New Data Notification'
message: '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었습니다.'
connections:
Trigger:
- HTTP_Request
HTTP_Request:
- Email_Send
- Trigger 노드: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워크플로를 시작.
- HTTP_Request 노드: 필요한 외부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가져옴.
- Email_Send 노드: 가져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메일 알림 발송.
2) 실제 적용 예시
// Java나 스크립트 코드를 쓰지 않아도
// n8n의 GUI에서 손쉽게 노드를 연결해 자동화를 구성할 수 있음.
// 하지만 특정 로직이 필요한 경우, 커스텀 JS 함수를 추가로 작성할 수도 있음.
🚀 동작 원리
- 트리거(Trigger) 발생: 워크플로를 작동시키는 이벤트(예: 웹훅, 스케줄러, DB 이벤트)가 발생합니다.
- 노드(Node) 실행: 순차적으로 혹은 병렬로 노드들이 실행되며, 각 노드는 해당 기능(HTTP 요청, 파일 처리, 데이터 변환 등)을 수행합니다.
- 데이터 전달: 앞 노드가 출력한 데이터는 다음 노드의 입력으로 전달되어, 전체 플로우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.
- 종료(Completion): 마지막 노드까지 실행이 완료되면 워크플로가 종료됩니다.
3. 주요 장점 🌟
오픈 소스 & 커스터마이징
-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확인하고 수정 가능.
- 자사 인프라에 맞춰 확장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음.
사용 편의성
- 웹 인터페이스에서 드래그앤드롭으로 노드를 연결하므로 직관적.
- 복잡한 스크립팅 없이도 다양한 서드파티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음.
유연한 호스팅 옵션
- 자체 서버(온프레미스)에서 Docker 등을 통해 배포 가능.
- 또는 n8n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 빠른 배포 가능.
다양한 커넥터(노드) 제공
- Slack, Gmail, Google Sheets, GitHub 등 자주 쓰는 SaaS와 DB, 프로토콜(FTP 등)을 이미 지원.
- REST API 노드를 통해 거의 모든 API 연동 가능.
4. 주의할 점 ⚠️
보안 이슈
- 오픈 소스이므로 최신 업데이트를 자주 확인하고, 보안 패치를 적용해야 함.
- 내부망에 배포하는 경우, 인증/인가 설정을 엄격히 해둬야 함.
데이터 관리
-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암호화나 안전한 연결을 반드시 적용해야 함.
- 로그나 히스토리에 민감 정보가 기록되지 않도록 주의.
성능 및 확장성
- 큰 규모의 워크플로가 많다면 서버 리소스(메모리, CPU)를 충분히 할당해야 함.
- 별도 로드밸런싱이나 스케일링 전략이 필요할 수 있음.
5. 실제 사용 예시 📱
아래는 간단한 사용 예시를 소개합니다.
시나리오: 매일 아침 특정 REST API에서 환율 정보를 가져와, Google Sheets에 저장하고, 변동폭이 클 경우 Slack 채널에 알림을 보낸다.
Trigger 노드
- Cron: 매일 아침 9시에 워크플로 실행.
HTTP Request 노드
- 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API(예: https://api.exchangerate.host/latest) 호출.
Google Sheets 노드
- 호출 결과를 Spreadsheet에 행(Row)으로 추가.
IF 노드
- 환율 변동폭이 특정 수치를 넘어서는지 로직으로 체크.
Slack 노드
- 변동폭이 클 경우, 팀 Slack에 메시지 전송.
# n8n Workflow 예시
nodes:
- name: Cron
type: cron
parameters:
cronTime: '0 9 * * *' # 매일 9시
- name: HTTP_Request
type: httpRequest
parameters:
url: 'https://api.exchangerate.host/latest?base=USD&symbols=EUR'
method: GET
- name: Google_Sheets
type: googleSheets
parameters:
# 예시: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데이터를 추가
action: 'append'
documentId: 'sample-spreadsheet-id'
range: 'Sheet1!A1'
- name: IF
type: if
parameters:
condition:
- value1: '={{$json["info"]["rateChange"]}}'
operation: 'greaterThan'
value2: '5' # 변동폭이 5% 이상이면 알림
- name: Slack
type: slack
parameters:
channel: '#currency-alert'
text: '환율 변동이 큽니다!'
connections:
Cron:
- HTTP_Request
HTTP_Request:
- Google_Sheets
- IF
IF:
- Slack
6. 마치며 🎁
n8n은 반복 업무나 데이터 연동을 자동화하려는 팀에게 큰 도움이 되는 도구입니다. 오픈 소스로 제공되어 유연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고, 직관적인 UI로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효율적 운영이 가능합니다.
특히 여러 SaaS 연동과 커스텀 API 호출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어, 운영·개발 팀 모두에게 유용합니다.
"이 기술(n8n)을 사용하면 한 곳에서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하여 자동화 워크플로를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!"
참고 자료
위 참고 자료를 통해 더욱 자세한 설정 방법, 커스텀 노드 작성법, 보안 가이드 등을 확인해보세요.